수다팻 손은정 대표
시스코 엔지니어 출신
꽃으로 조직 컨설팅
'당신의 꽃집에 대한
상상력은 어디까지인가요'
[서울경제] 꽃집을 한다는 일에 대해 발휘할 수 있는 상상력은 과연 어디까지일까.
꽃장식을 하는 플로리스트, 꽃을 활용한 작품을 만드는 작가, 꽃으로 사람을 치유하는 테라피스트······.
여기서 한 발짝 나아가 꽃꽂이를 통해 개인의 성향과 리더십을 진단하고 기업이나 단체 등 조직을 위한 컨설팅을 하는 ‘꽃쟁이’가 등장했다. 서울 옥수동에서 꽃집 ‘수다팻(수다 F.A.T)’을 운영하는 손은정(41) 대표다.
‘꽃집을 하는 사람이 기업 구성원을 진단하고 조직 문화를 컨설팅한다고?’ 언뜻 보면 어울리지 않는 조합같지만 손 대표는 꽃을 접하기 전에 글로벌 정보기술(IT) 기업, 국내 대기업, 스타트업 등에서 10년 가까이 몸담았던 조직 전문가다. 5년간 KB증권, LF(LG패션) 등 국내 기업뿐 아니라 여러 외국계 기업의 다양한 구성원 1,700명이 손 대표가 진행하는 워크숍을 거쳤다. ‘내가 이런 사람이었구나 알게 됐다’, ‘상사의 리더십 스타일을 이해하게 되고 나니 소통이 더 잘 되는 것 같다’는 등의 호평이 나오고 있다.
“꽃집이 늘어나면서 ‘플로리스트는 이럴 거다’ 하는 환상이 있는 것 같아요. 그런데 저는 꽃을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었어요. 사람을 이해하고 싶었는데 마침 그 매개가 꽃이었을 뿐이에요”
꽃쟁이의 학부 전공은 공대였다. 사명 ‘수다 F.A.T(Flower·Art·Techonology)’의 ‘T’는 손 대표의 전공에서 나왔다.
그는 연세대 산업공학과에 96학번으로 입학한 뒤 악착같이 공부를 했다. 졸업 후 2001년 네트워크 보안 분야의 세계 강자인 정보기술(IT) 회사 시스코에 입사했다. 본사가 있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수 후 아시아태평양 지사가 있는 싱가포르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. 또래들이 국내 대기업에 입사할 때 외국 취업 성공은 선망받는 첫걸음이었다.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는 게 손 대표의 설명이다.
“사실 전 출발선이 다른 ‘외국인 노동자’에 불과했어요. 죽도록 열심히 일했지만 어쩔 수 없는 (인종적) 한계 때문에 자존감이 떨어지는 상황이 반복됐죠. 외국인을 진짜 동료로 생각하지 않았고 중요한 일을 맡기는 일은 없다 보니 자괴감이 컸어요”
http://news.naver.com/main/read.nhn?mode=LSD&mid=sec&sid1=102&oid=011&aid=0003297157
수다팻 손은정 대표
시스코 엔지니어 출신
꽃으로 조직 컨설팅
'당신의 꽃집에 대한
상상력은 어디까지인가요'
[서울경제] 꽃집을 한다는 일에 대해 발휘할 수 있는 상상력은 과연 어디까지일까.
꽃장식을 하는 플로리스트, 꽃을 활용한 작품을 만드는 작가, 꽃으로 사람을 치유하는 테라피스트······.
여기서 한 발짝 나아가 꽃꽂이를 통해 개인의 성향과 리더십을 진단하고 기업이나 단체 등 조직을 위한 컨설팅을 하는 ‘꽃쟁이’가 등장했다. 서울 옥수동에서 꽃집 ‘수다팻(수다 F.A.T)’을 운영하는 손은정(41) 대표다.
‘꽃집을 하는 사람이 기업 구성원을 진단하고 조직 문화를 컨설팅한다고?’ 언뜻 보면 어울리지 않는 조합같지만 손 대표는 꽃을 접하기 전에 글로벌 정보기술(IT) 기업, 국내 대기업, 스타트업 등에서 10년 가까이 몸담았던 조직 전문가다. 5년간 KB증권, LF(LG패션) 등 국내 기업뿐 아니라 여러 외국계 기업의 다양한 구성원 1,700명이 손 대표가 진행하는 워크숍을 거쳤다. ‘내가 이런 사람이었구나 알게 됐다’, ‘상사의 리더십 스타일을 이해하게 되고 나니 소통이 더 잘 되는 것 같다’는 등의 호평이 나오고 있다.
“꽃집이 늘어나면서 ‘플로리스트는 이럴 거다’ 하는 환상이 있는 것 같아요. 그런데 저는 꽃을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었어요. 사람을 이해하고 싶었는데 마침 그 매개가 꽃이었을 뿐이에요”
꽃쟁이의 학부 전공은 공대였다. 사명 ‘수다 F.A.T(Flower·Art·Techonology)’의 ‘T’는 손 대표의 전공에서 나왔다.
그는 연세대 산업공학과에 96학번으로 입학한 뒤 악착같이 공부를 했다. 졸업 후 2001년 네트워크 보안 분야의 세계 강자인 정보기술(IT) 회사 시스코에 입사했다. 본사가 있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수 후 아시아태평양 지사가 있는 싱가포르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. 또래들이 국내 대기업에 입사할 때 외국 취업 성공은 선망받는 첫걸음이었다.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는 게 손 대표의 설명이다.
“사실 전 출발선이 다른 ‘외국인 노동자’에 불과했어요. 죽도록 열심히 일했지만 어쩔 수 없는 (인종적) 한계 때문에 자존감이 떨어지는 상황이 반복됐죠. 외국인을 진짜 동료로 생각하지 않았고 중요한 일을 맡기는 일은 없다 보니 자괴감이 컸어요”
http://news.naver.com/main/read.nhn?mode=LSD&mid=sec&sid1=102&oid=011&aid=0003297157